본문 바로가기

소소한 부동산&경제 지식

퇴직연금으로 백만장자 되기: DC, IRP 안전자산 ETF 추천

반응형

퇴직연금 DC형이나 IRP 계좌를 직접 운용할 때, '위험자산 70% 투자 한도' 규칙 때문에 고민이신 분들이 많아요. 나머지 30%는 반드시 안전자산으로 채워야 하죠.

DC형과 IRP는 소중한 노후 자산을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로, 개인이 100% 위험자산 투자가 가능한 연금저축과는 달라요. 문제는 주식형 ETF처럼 위험자산으로 분류된 상품의 가격이 올라 70% 한도를 넘어서면, 더 사고 싶어도 살 수 없게 된다는 점입니다. 결국 원하지 않아도 현금이나 예금 같은 안전자산 비중을 늘려야 하죠.

하지만 방법이 있어요! 바로 '채권혼합형 ETF'를 활용하는 건데요, 이 상품들은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면서도 주식을 포함하고 있어 실질적인 주식 투자 비중을 높일 수 있습니다.

채권혼합형 ETF 종류

1. 채권 + 지수 혼합형:

미국 대표 지수(나스닥 100, S&P 500 등)와 채권을 섞은 상품이에요. 보통 '주식 30% + 채권 70%' 비율이지만 안전자산으로 분류됩니다.

  • 예시: TIGER 미국 나스닥백 TR 채권혼합, ACE 미국 나스닥백 채권혼합 액티브, ACE 미국 S&P500 채권혼합 액티브
  • 활용 효과: 위험자산 70%를 미국 지수 ETF로 채우고, 안전자산 30%를 이 채권혼합형 ETF로 채우면? 총 주식 비중을 약 79% (70% + 30%의 30% = 9%)까지 늘릴 수 있어요!

2. 채권 + 여러 개별 종목 혼합형:

특정 인기 종목 여러 개를 채권과 섞은 상품입니다.

  • 예시: TIGER 미국테크TOP10채권혼합 (미국 빅테크 상위 10개 기업 주식 40%), SOL 미국TOP5채권혼합40셀렉티브 (미국 상위 5개 기업 주식 40%)

3. 채권 + 단일 종목 혼합형:

특정 기업 주식 하나와 채권을 섞었어요.

  • 예시: KODEX iShares 미국채권혼합 (애플), TIGER 테슬라채권혼합 (테슬라 30%), ACE 엔비디아채권혼합블룸버그 (엔비디아)

Tip: ETF가 안전자산인지 위험자산인지 헷갈린다면, 증권사 앱에서 해당 종목의 상세정보를 확인해 보세요. '투자 한도 70%'라고 표시되어 있으면 위험자산, 별도 표시가 없거나 '100%'라면 안전자산입니다. 

채권혼합형 ETF를 통해 DC/IRP 계좌의 안전자산 30% 규정 내에서도 주식 비중을 늘려 더 높은 수익률을 추구해볼 수 있습니다. 물론 투자 결정은 본인의 투자 성향과 남은 기간 등을 충분히 고려해야겠죠? 

2025.05.26 - [소소한 부동산&경제 지식] - 연금저축, IRP, ISA에 담을 ETF 고르는 4가지 방법

 

연금저축, IRP, ISA에 담을 ETF 고르는 4가지 방법

ETF 상품이 너무 많아 고민될 때, 다음 네 가지 기준을 기억하세요. 순자산과 거래량은 높을수록, 괴리율과 수수료는 낮을수록 좋습니다. 좋은 ETF 고르는 4가지 기준입니다!1. 순자산 (시가총액)ETF

gilbert-choi.tistory.com

2025.05.26 - [소소한 부동산&경제 지식] - ISA 계좌에 담기 좋은 ETF 5가지 (월배당 포함)

 

ISA 계좌에 담기 좋은 ETF 5가지 (월배당 포함)

ISA 계좌, 어떤 종목에 투자해야 유리할까요? 일반 주식이나 국내 ETF는 매매 차익이 비과세라 ISA 계좌의 장점을 살리기 어려워요. ISA 계좌의 핵심은 투자 수익과 배당에 대한 비과세 혜택이기 때

gilbert-choi.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