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소한 부동산&경제 지식

인플레이션은 2%대가 적절한가?

반응형

출처: https://unsplash.com/

인플레이션은 일반적으로 물가 상승으로 정의되는 경제 현상입니다. 즉, 특정 기간 동안 물가가 상승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인플레이션의 핵심적인 특징이며, 물가 상승률이 높을수록 인플레이션의 영향력이 큽니다.

인플레이션은 주로 통화량 증가, 수요 공급 조절, 세금 정책 등의 요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중앙은행에서 통화량을 증가시키는 경우, 시장에 유통되는 돈의 양이 증가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소비자들은 더 많은 돈을 가지고 있게 되므로, 수요가 증가합니다. 수요가 증가하면 생산과 판매가 늘어나고, 이로 인해 가격이 상승합니다.

인플레이션은 긍정적인 효과와 부정적인 효과가 모두 있습니다. 긍정적인 효과는 기업이 수익을 올리고 일자리가 늘어나는 등 경제 활동이 촉진된다는 점입니다. 반면에, 부정적인 효과는 물가가 상승하면서 소비자들의 구매력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생활비가 증가하게 된다는 점입니다. 또한, 고정 수입을 받는 사람들에게는 인플레이션이 큰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은 중앙은행이나 정부 등의 정책 조절로 통제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중앙은행은 금리 조절, 통화량 조절 등의 방법으로 인플레이션을 통제하고, 정부는 세금 조절, 재정 정책 등으로 인플레이션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 인플레이션 2%대의 주장

2% 인플레이션 지수를 유지해야 한다는 주장을 처음 제시한 경제학자는 미국의 경제학자인 윌리엄 포셔(William Poole)입니다. 포셔는 1990년대 중반에 이러한 주장을 하였으며, 이후 다른 경제학자들도 이와 유사한 주장을 하였습니다.

*윌리엄 포셔(William Poole)는?

William Poole / 출처: 위키피디아

미국의 경제학자로, 1937년 미국 뉴욕에서 태어났습니다. 포셔는 1963년에 하버드대학교에서 학사학위를, 1965년에는 마사추세츠공과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1968년에는 시카고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습니다. 그 후 포셔는 1974년부터 1991년까지 퀸즈대학교 경제학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이후 1991년부터 2008년까지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총재로 일했습니다. 포셔는 중앙은행의 역할과 인플레이션 정책 등에 대한 연구와 이론적인 지식으로 인해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2% 인플레이션 지수를 유지해야 한다는 주장으로 유명합니다.

2% 인플레이션 지수를 유지해야 한다는 주장의 근거는 다음과 같습니다. 인플레이션이 너무 높아지면 경제 활동이 불안정해질 수 있습니다. 반면, 인플레이션 지수가 낮으면 경제성장을 촉진시키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경제 전문가들은 인플레이션 지수를 2% 정도로 유지하면 경제적으로 안정적인 성장이 가능하다는 주장을 하였습니다.

이후 많은 중앙은행들이 인플레이션 지수를 2% 수준으로 유지하려는 방향으로 정책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경우, 2012년 연방준비제도(Fed)는 인플레이션 지수를 목표치로 하는 '인플레이션 타겟팅' 정책을 채택하였으며, 목표치는 2%입니다. 유럽 중앙은행(ECB) 역시 2019년에 인플레이션 지수를 2%로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습니다.

최근에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경제적인 충격을 겪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중앙은행들은 인플레이션 지수를 일시적으로 높게 유지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유지하거나 인하하는 등의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책은 경제 활동을 촉진시키기 위함입니다.

그러나 최근 인플레이션 지수가 기존 예상치보다 높아지면서 중앙은행들은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기준금리 인상 및 자산 매입을 줄이는 등의 조치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조치는 물가 상승과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고 안정적인 경제 성장을 유지하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한 금리인상의 영향력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기준 금리를 인상하는 것이 일반적인 정책 수단으로 사용됩니다. 기준 금리를 인상하면 대출이나 신용카드 이자율이 상승하게 되어 소비가 감소하고, 대출 수요가 줄어들면서 인플레이션 압력이 완화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기준 금리 상승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과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등 부작용이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기준 금리 상승이 불황을 유발하고 고용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기업들이 대출이나 투자 등에 대한 비용이 증가하면서 기업활동이 감소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경제성장률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준 금리 인상이 통화가치에 영향을 미치기도 합니다. 기준 금리가 인상되면 해당국의 통화 가치가 상승하게 되어 수출 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수출이 감소하고, 국내 생산과 고용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준 금리 인상은 인플레이션 억제에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이지만, 부작용을 고려하여 정책을 설정하고 시행해야 합니다. 또한, 기준 금리 이외에도 세금 조정, 재정 정책 등 다양한 정책 수단을 활용하여 인플레이션을 통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인플레이션 발생 요인부터 기준 금리 상승에 따른 영향력까지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항목 내용
인플레이션 발생 요인 - 통화량 증가 / 수요 공급 조절 / 세금 정책 등
긍정적인 효과 - 기업 수익 증대 / 일자리 증가 / 경제 활동 촉진 등
부정적인 효과 - 물가 상승으로 인한 소비자 구매력 감소 / 생활비 상승 / 고정 수입자 부담 등
통제 조건 - 중앙은행의 금리 조절, 통화량 조절 등 / 정부의 세금 조절, 재정 정책 등
기준 금리 상승에 따른 영향력 - 대출 금리 상승 / 주식 시장 하락 / 외환 시장 변동 등

감사합니다.

반응형